‘낚시꾼 스윙’ 최호성, 日프로골프 카시오 월드오픈 우승
동포 선수 가세한 ‘팀 LPGA’ 챔피언스트로피 탈환
신지애, 日여자골프 사상 최초로 한 시즌 메이저 3승
‘낚시꾼 스윙’ 최호성, 日프로골프 카시오 월드오픈 우승
‘낚시꾼 스윙’으로 유명한 최호성(45)이 일본프로골프 투어(JGTO) 카시오 월드오픈(총상금 2억엔) 우승을 차지했다. 최호성은 25일 일본 고치현 고치 구로시오 컨트리클럽(파72·7천335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를 쳤다. 최종합계 15언더파 273타를 기록한 최호성은 2위 브렌던 존스(호주)를 1타 차로 따돌렸다. 우승 상금은 4천만엔(약 4억원)이다. 최호성은 2013년 3월 인도네시아 PGA 챔피언십 이후 5년 8개월 만에 JGTO에서 2승째를 거뒀다. 공을 치고 난 뒤 클럽을 잡고 있는 모양이 마치 낚시꾼이 낚시 채를 잡아채는 동작과 닮았다고 해서 ‘낚시꾼 스윙’이라는 별칭이 붙은 최호성은 미국 골프 전문 매체 골프위크에도 따로 소개될 정도로 올해 세계 골프계에 큰 화제를 불러모은 선수다.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동포 선수 가세한 ‘팀 LPGA’ 챔피언스트로피 탈환
최종일 싱글매치에서 4승5패3무승부…승점 종합 13-11 동포 선수들의 가세로 부쩍 힘이 강해진 ‘팀 LPGA’가 ‘팀 KLPGA’를 압도하며 작년 패배를 설욕했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뛰는 한국인과 한국계 선수로 구성된 ‘팀 LPGA’는 25일 경북 경주시 블루원 디아너스 컨트리클럽에서 열린 오렌지라이프 챔피언스트로피 박인비 인비테이셔널(이하 챔피언스트로피) 최종일 싱글매치 플레이서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정상급 선수가 출전한 ‘팀 KLPGA’에 4승5패3무승부로 밀렸다. 그러나 최종일 승점 5.5점을 보탠 ‘팀 LPGA’는 승점 합계 13-11로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양팀은 사흘 동안 포볼 6경기, 포섬 6경기, 그리고 싱글 매치플레이 12경기를 치러 이기면 승점 1점, 비기면 0.5점을 받는 방식으로 겨뤘다. 올해 4회째인 이 대회에서 1, 2회에 우승했던 ‘팀 LPGA’는 작년에 ‘팀 KLPGA’에 내줬던 패권을 되찾아오면서 역대 전적 3승1패로 격차를 벌렸다. 첫날 포볼 경기에서 승점 1점차, 둘째날 포섬 경기에서 승점 3점차로 앞서나간 ‘팀 LPGA’는 양팀에서 12명씩 나서 겨룬 싱글 매치 플레이에서 10번째 주자 박성현(25)이 최혜진(19)에 4홀차 완승을 거둬 우승에 필요한 승점 12.5점을 넘겼다. ‘팀 LPGA’는 첫번째 주자 이민지(호주)와 두번째 주자 리디아 고(뉴질랜드)가 각각 김지현2(27), 김자영(27)과 비겨 승점 1점을 보탠 뒤 주장 유소연(28)이 ‘팀 KLPGA’ 주장 이승현(27)을 7홀차로 크게 이겨 우승을 향해 가속 페달을 밟았다. 이미향(25)이 이다연(21)을 2홀차로 따돌린 데 이어 맏언니 지은희(32)가 오지현(22)을 4홀차로 꺾으면서 ‘팀 LPGA’의 우승은 초읽기에 들어갔다. 단 1승만 추가하면 되는 유리한 고지를 밟은 ‘팀 LPGA’는 그러나 마지막 고비를 넘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6번째 주자 제니퍼 송(미국)이 김지현(27)에게 3홀차로 져 주춤했고 이정은(30)이 김지영(22)과 비긴 데 이어 신지은(26)이 조정민(23)에게 3홀차로 패배했다. 0.5점만 보태면 우승할 수 있는 ‘팀 LPGA’는 최운정(28)이 이소영(21)에게 1홀차로 무릎을 꿇어 승점 12-9로 쫓겼다. 승부사 박성현이 해결사로 나섰다. 구름 관중이 몰린 가운데 1번 홀부터 버디를 잡아내 앞서나간 박성현은 한 번도 리드를 빼앗기지 않고 16번 홀에서 4홀 차로 달아나 최혜진의 항복을 받았다. ‘팀 KLPGA’는 우승이 결정된 뒤에 이어진 경기에서 김아림(23)이 대니엘 강(미국)을 2홀차로 제압하고 상금왕 이정은(22)이 18번홀에서 극적인 칩인 버디로 1홀차 승리를 올려 체면을 살렸다. 작년까지 한국 국적 선수만으로 꾸렸던 ‘팀 LPGA’는 올해부터 동포 선수 4명을 합류시키며 변화를 꾀했다. LPGA투어 상금랭킹 2위 이민지와 세계랭킹 1위를 지켰던 리디아 고, 그리고 활력이 넘치는 대니엘 강(미국)과 제니퍼 송은 ‘팀 LPGA’에 사흘 동안 승점 7점을 선사했다. 특히 이민지는 2승1무승부로 혼자 승점 3점을 따냈다. 이 대회에 4차례 모두 출전한 유소연 역시 2승1무승부로 맹활약했고 팀 경기에 강한 전인지는 2승1패로 ‘팀 LPGA’의 우승을 견인했다. ‘팀 KLPGA’는 상금왕 이정은이 2승1패1무승부로 제몫을 했지만 신인왕이자 대상 수상자 최혜진이 1무승부2패, 다승왕 이소영이 1승1패1무승부 등으로 다소 기대에 못 미쳤다. 상금과 대상 경쟁을 벌인 오지현(22)은 3패를 당해 승점을 1점도 따내지 못했다. 박성현이 비운 장타여왕 자리를 차지한 김아림은 3전 전승을 거둬 혼자 승점 3점을 책임졌다.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신지애, 日여자골프 사상 최초로 한 시즌 메이저 3승
올해 일본 4대 메이저 대회는 한국선수들이 석권 신지애(30)가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사상 최초로 한 시즌에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3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신지애는 25일 일본 미야자키현 미야자키 컨트리클럽(파72·6천471야드)에서 열린 JLPGA 투어 챔피언십 리코컵(총상금 1억엔)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4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합계 11언더파 277타의 성적을 낸 신지애는 배희경(26)을 연장 첫 홀에서 물리쳤다. 우승 상금 2천500만엔(약 2억5천만원)을 받은 신지애는 시즌 4승, 투어 통산 20승째를 거뒀다. JLPGA 투어 정회원 자격을 갖기 이전인 2008년 3월 요코하마 타이어 PRGR 레이디스컵 우승까지 더하면 일본 무대 승수는 21승으로 늘어난다. 신지애는 또 올해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5월 살롱파스컵, 9월 LPGA 챔피언십에 이어 이번 대회마저 제패하며 메이저 3승을 달성했다. JLPGA 투어에서 한 시즌에 메이저 3승을 거둔 것은 올해 신지애가 처음이다. 신지애는 현지 매체들과 인터뷰를 통해 “많은 갤러리가 성원해주셔서 집중력이 생겼다”며 “후반부에는 리더보드를 보면서 경기를 했는데 뜻대로 플레이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대회 전에 미야자키 보호 시설을 방문해 어린이들에게 우승을 약속한 것을 지켜서 더 기쁘다”고 덧붙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상금왕에 오른 신지애는 미국 진출 첫해인 2009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도 상금 1위를 차지했다. 2014년부터 일본 무대에 전념하고 있는 신지애는 JLPGA 투어에서도 상금왕에 오를 경우 사상 최초로 한·미·일 상금왕을 석권하는 기록도 세울 수 있다. 신지애는 올해 상금 순위에서 안선주(31)에 이어 2위로 시즌을 마쳤다. 올해 일본 4대 메이저 대회에선 신지애가 3승을 거두고, 유소연(28)이 9월 일본여자오픈에서 우승하는 등 한국선수들이 석권했다. 스즈키 아이(일본)가 1타 차 3위에 올랐고 2018시즌 JLPGA 투어 상금 1위 안선주는 8언더파 280타. 단독 6위로 대회를 마쳤다. JLPGA 투어는 이 대회로 이번 시즌을 마무리한다. 한국선수들은 이번 시즌 38개 대회에서 15승을 합작했다. 안선주가 5승, 신지애가 4승, 황아름(31)이 3승씩 거뒀고, 이민영(26)과 배희경, 유소연은 1승씩 추가했다. 특히 4대 메이저 대회를 휩쓸고, 상금 1위 안선주, 올해의 선수 부문 신지애 등 주요 부문 1위를 한국선수들이 가져갔다. JLPGA 투어 4대 메이저 대회에서 일본 선수가 1승도 하지 못한 것은 2015년 이후 올해가 3년 만이다. 2015년에는 전인지(24)가 2승, 신지애가 1승, 대만 선수인 테레사 루가 1승을 따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동포 선수 가세한 ‘팀 LPGA’ 챔피언스트로피 탈환
신지애, 日여자골프 사상 최초로 한 시즌 메이저 3승
‘낚시꾼 스윙’ 최호성, 日프로골프 카시오 월드오픈 우승
‘낚시꾼 스윙’으로 유명한 최호성(45)이 일본프로골프 투어(JGTO) 카시오 월드오픈(총상금 2억엔) 우승을 차지했다. 최호성은 25일 일본 고치현 고치 구로시오 컨트리클럽(파72·7천335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를 쳤다. 최종합계 15언더파 273타를 기록한 최호성은 2위 브렌던 존스(호주)를 1타 차로 따돌렸다. 우승 상금은 4천만엔(약 4억원)이다. 최호성은 2013년 3월 인도네시아 PGA 챔피언십 이후 5년 8개월 만에 JGTO에서 2승째를 거뒀다. 공을 치고 난 뒤 클럽을 잡고 있는 모양이 마치 낚시꾼이 낚시 채를 잡아채는 동작과 닮았다고 해서 ‘낚시꾼 스윙’이라는 별칭이 붙은 최호성은 미국 골프 전문 매체 골프위크에도 따로 소개될 정도로 올해 세계 골프계에 큰 화제를 불러모은 선수다.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동포 선수 가세한 ‘팀 LPGA’ 챔피언스트로피 탈환
최종일 싱글매치에서 4승5패3무승부…승점 종합 13-11 동포 선수들의 가세로 부쩍 힘이 강해진 ‘팀 LPGA’가 ‘팀 KLPGA’를 압도하며 작년 패배를 설욕했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뛰는 한국인과 한국계 선수로 구성된 ‘팀 LPGA’는 25일 경북 경주시 블루원 디아너스 컨트리클럽에서 열린 오렌지라이프 챔피언스트로피 박인비 인비테이셔널(이하 챔피언스트로피) 최종일 싱글매치 플레이서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정상급 선수가 출전한 ‘팀 KLPGA’에 4승5패3무승부로 밀렸다. 그러나 최종일 승점 5.5점을 보탠 ‘팀 LPGA’는 승점 합계 13-11로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양팀은 사흘 동안 포볼 6경기, 포섬 6경기, 그리고 싱글 매치플레이 12경기를 치러 이기면 승점 1점, 비기면 0.5점을 받는 방식으로 겨뤘다. 올해 4회째인 이 대회에서 1, 2회에 우승했던 ‘팀 LPGA’는 작년에 ‘팀 KLPGA’에 내줬던 패권을 되찾아오면서 역대 전적 3승1패로 격차를 벌렸다. 첫날 포볼 경기에서 승점 1점차, 둘째날 포섬 경기에서 승점 3점차로 앞서나간 ‘팀 LPGA’는 양팀에서 12명씩 나서 겨룬 싱글 매치 플레이에서 10번째 주자 박성현(25)이 최혜진(19)에 4홀차 완승을 거둬 우승에 필요한 승점 12.5점을 넘겼다. ‘팀 LPGA’는 첫번째 주자 이민지(호주)와 두번째 주자 리디아 고(뉴질랜드)가 각각 김지현2(27), 김자영(27)과 비겨 승점 1점을 보탠 뒤 주장 유소연(28)이 ‘팀 KLPGA’ 주장 이승현(27)을 7홀차로 크게 이겨 우승을 향해 가속 페달을 밟았다. 이미향(25)이 이다연(21)을 2홀차로 따돌린 데 이어 맏언니 지은희(32)가 오지현(22)을 4홀차로 꺾으면서 ‘팀 LPGA’의 우승은 초읽기에 들어갔다. 단 1승만 추가하면 되는 유리한 고지를 밟은 ‘팀 LPGA’는 그러나 마지막 고비를 넘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6번째 주자 제니퍼 송(미국)이 김지현(27)에게 3홀차로 져 주춤했고 이정은(30)이 김지영(22)과 비긴 데 이어 신지은(26)이 조정민(23)에게 3홀차로 패배했다. 0.5점만 보태면 우승할 수 있는 ‘팀 LPGA’는 최운정(28)이 이소영(21)에게 1홀차로 무릎을 꿇어 승점 12-9로 쫓겼다. 승부사 박성현이 해결사로 나섰다. 구름 관중이 몰린 가운데 1번 홀부터 버디를 잡아내 앞서나간 박성현은 한 번도 리드를 빼앗기지 않고 16번 홀에서 4홀 차로 달아나 최혜진의 항복을 받았다. ‘팀 KLPGA’는 우승이 결정된 뒤에 이어진 경기에서 김아림(23)이 대니엘 강(미국)을 2홀차로 제압하고 상금왕 이정은(22)이 18번홀에서 극적인 칩인 버디로 1홀차 승리를 올려 체면을 살렸다. 작년까지 한국 국적 선수만으로 꾸렸던 ‘팀 LPGA’는 올해부터 동포 선수 4명을 합류시키며 변화를 꾀했다. LPGA투어 상금랭킹 2위 이민지와 세계랭킹 1위를 지켰던 리디아 고, 그리고 활력이 넘치는 대니엘 강(미국)과 제니퍼 송은 ‘팀 LPGA’에 사흘 동안 승점 7점을 선사했다. 특히 이민지는 2승1무승부로 혼자 승점 3점을 따냈다. 이 대회에 4차례 모두 출전한 유소연 역시 2승1무승부로 맹활약했고 팀 경기에 강한 전인지는 2승1패로 ‘팀 LPGA’의 우승을 견인했다. ‘팀 KLPGA’는 상금왕 이정은이 2승1패1무승부로 제몫을 했지만 신인왕이자 대상 수상자 최혜진이 1무승부2패, 다승왕 이소영이 1승1패1무승부 등으로 다소 기대에 못 미쳤다. 상금과 대상 경쟁을 벌인 오지현(22)은 3패를 당해 승점을 1점도 따내지 못했다. 박성현이 비운 장타여왕 자리를 차지한 김아림은 3전 전승을 거둬 혼자 승점 3점을 책임졌다.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신지애, 日여자골프 사상 최초로 한 시즌 메이저 3승
올해 일본 4대 메이저 대회는 한국선수들이 석권 신지애(30)가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사상 최초로 한 시즌에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3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신지애는 25일 일본 미야자키현 미야자키 컨트리클럽(파72·6천471야드)에서 열린 JLPGA 투어 챔피언십 리코컵(총상금 1억엔)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4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합계 11언더파 277타의 성적을 낸 신지애는 배희경(26)을 연장 첫 홀에서 물리쳤다. 우승 상금 2천500만엔(약 2억5천만원)을 받은 신지애는 시즌 4승, 투어 통산 20승째를 거뒀다. JLPGA 투어 정회원 자격을 갖기 이전인 2008년 3월 요코하마 타이어 PRGR 레이디스컵 우승까지 더하면 일본 무대 승수는 21승으로 늘어난다. 신지애는 또 올해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5월 살롱파스컵, 9월 LPGA 챔피언십에 이어 이번 대회마저 제패하며 메이저 3승을 달성했다. JLPGA 투어에서 한 시즌에 메이저 3승을 거둔 것은 올해 신지애가 처음이다. 신지애는 현지 매체들과 인터뷰를 통해 “많은 갤러리가 성원해주셔서 집중력이 생겼다”며 “후반부에는 리더보드를 보면서 경기를 했는데 뜻대로 플레이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대회 전에 미야자키 보호 시설을 방문해 어린이들에게 우승을 약속한 것을 지켜서 더 기쁘다”고 덧붙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상금왕에 오른 신지애는 미국 진출 첫해인 2009년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도 상금 1위를 차지했다. 2014년부터 일본 무대에 전념하고 있는 신지애는 JLPGA 투어에서도 상금왕에 오를 경우 사상 최초로 한·미·일 상금왕을 석권하는 기록도 세울 수 있다. 신지애는 올해 상금 순위에서 안선주(31)에 이어 2위로 시즌을 마쳤다. 올해 일본 4대 메이저 대회에선 신지애가 3승을 거두고, 유소연(28)이 9월 일본여자오픈에서 우승하는 등 한국선수들이 석권했다. 스즈키 아이(일본)가 1타 차 3위에 올랐고 2018시즌 JLPGA 투어 상금 1위 안선주는 8언더파 280타. 단독 6위로 대회를 마쳤다. JLPGA 투어는 이 대회로 이번 시즌을 마무리한다. 한국선수들은 이번 시즌 38개 대회에서 15승을 합작했다. 안선주가 5승, 신지애가 4승, 황아름(31)이 3승씩 거뒀고, 이민영(26)과 배희경, 유소연은 1승씩 추가했다. 특히 4대 메이저 대회를 휩쓸고, 상금 1위 안선주, 올해의 선수 부문 신지애 등 주요 부문 1위를 한국선수들이 가져갔다. JLPGA 투어 4대 메이저 대회에서 일본 선수가 1승도 하지 못한 것은 2015년 이후 올해가 3년 만이다. 2015년에는 전인지(24)가 2승, 신지애가 1승, 대만 선수인 테레사 루가 1승을 따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골프뉴스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11월 27일 골프뉴스모음(2) (0) | 2018.11.27 |
---|---|
2018년 11월 27일 골프뉴스모음(1) (0) | 2018.11.27 |
2018년 11월 26일 골프뉴스모음(2) (0) | 2018.11.26 |
2018년 11월 26일 골프뉴스모음(1) (0) | 2018.11.26 |
2018년 11월 24일 골프뉴스모음(2) (0) | 2018.11.23 |